본문 바로가기
임신,출산,육아

모르면 손해! 서울 외 지역별 임산부 교통비 지원 정책 알아보기(경기, 인천, 강원, 충청남, 경남, 전남)

by 글쓰는맘 2024. 6. 17.
반응형

지난번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지원금 정책 게시글에 이어 오늘은 서울 외 지역의 임산부 지원 정책은 어떻게 되는 지 알아보았습니다. 정부24 사이트에 게재된 내용을 바탕으로 기재하였으며 좀 더 자세한 사항은 사이트에 들어가서 확인해 보실 수 있도록 링크 남겨 둘게요.

서울외 지역 임산부 교통비 지원금

 

◆ 경기도/여주시 임산부 교통비 지원

  • 지원대상: 해당 지역 관내 6개월이상 거주 중인 임신 출산부
  • 지원내용: 임신 28주가 속한달부터 출산한 달까지 병원 1회 방문시 5만원씩 최대 30만원 지급
  • 출산후 6개월 이내 신청
  • 신청방법

     - 방문 신청: 관할 보건소 방문신청 가능

     - 제출서류: 임신확인서, 주민등록초본(주소상세), 병원영수증, 통장사본, 임산부 교통비 지원신청서

 

 

 

인천시광역시 임산부 교통비 지원

  • 지원대상

      - (신청일 기준) 인천광역시에 6개월(180) 이상 주민등록을 두고 실 거주하는 임신부

      다문화 외국인 임신부의 경우 부부 모두 외국인인 경우 지원 불가

      - 임산부 교통비 지급시까지 타시도 전출입 이력이 없어야 함

      - 임신 12주부터 출산일로부터 3개월(90) 이내 임산부

  • 지원내용: 교통비 포인트 50만원 지원(인천e음 기본카드에 정책수당 지급)
  • 신청방법

      - 온라인: 맘편한 임신 통합제공 서비스에서 임산부 등록 후 정부 24 신청

      - 방문 : 구비서류 지참 후 주소지 행정복지센터 방문 접수

        * 다문화 외국인 임산부, 청소년 산모 등 본인 명의 휴대폰이 없을 경우 대리인(남편, 부모)이 방문접수

 

정부24 사이트 이동

 

◆ 강원특별자치도/동해시 임산부 교통비 지원

  • 지원대상: 임산부 등록일 기준 관내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임산부
  • 지원내용: 교통카드 지급 10만 원 (산전검진을 위한 병원 방문 등)
  • 신청방법: 신분증, 주민등록등본 지참하여 보건소 방문

 

 

◆ 충청남도/천안시 임산부 교통비 지원

  • 지원대상

      - 6개월 이상 주민등록을 두고 실제 거주하고 있는 임산부

      - 신청일 현재 임신(12주 이상) 중이거나 출산 후 3개월이 경과하지 않은 임산부

  • 지원내용

     - 임산부에게 1인당 30만원 교통비바우처 지급

     - 천안사랑카드 앱에 등록하여 임산부교통비 지급(임산부 본인명의 휴대폰에 등록 )

  •  신청방법

     - 온라인: 정부24

     - 방문: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정부24 사이트 이동

 

◆  경상남도/거제시 임산부 교통비 지원

  • 지원대상: 신청일 기준 관내 주민등록을 둔 임신부
  • 지원내용: 임신부의 산전검진 지원을 위한 교통비 20만원 지원
  • 신청방법

      - 방문: 보건소

      - 온라인: 정부24 사이트에서 신청

 

정부24 사이트 이동

 

◆  전라남도/광양시 임산부 교통비 지원

  • 지원대상: 광양시 주민등록을 둔 임신부, 산모수첩상 임신 20주부터 출산 전까지
  • 지원내용: 산전검진을 위한 교통비 지원
  • 신청방법: 거주지 관할 보건소 방문 신청

 

 

오늘은 서울외 지역 임산부 교통비 지원 정책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서울시의 임산부 교통비 지원 정책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에서 확인해보세요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지원금 아직도 신청 안하신분! 집중!

 

서울시 임산부 교통비 지원금 아직도 신청 안하신분! 집중!

서울시에서 임산부에게 교통비 지원금을 주는 걸 알고 계신가요? 엽산. 철분제 신청하신 분들은 이미 알고 계실 수도 있겠어요. 원스탑으로 한꺼번에 교통비까지 신청할 수 있거든요. 혹시라도

momnbabywebsite.com

24년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어떻게 변경 되었을까? 내 임금은?

 

24년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어떻게 변경 되었을까? 내 임금은?

정부는 임신 중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제도란 "임신 12주 이내 또는 36주 이후의 근로자가 일일 2시간의

momnbabywebsite.com

 

반응형